검색결과 리스트
ap 과목에 해당되는 글 3건
- 2024.11.26 AP 과목 경제학 고득점 받는 공략법
- 2019.04.25 AP 시험을 보아야 하는 시기 + 시험등록 및 성적확인/리포팅!
- 2018.07.17 AP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접수방법이랑 구성은 체크해야지!
글
AP 과목 경제학 고득점 받는 공략법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 뉴욕애플베이컨 님의 글을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AP Macroeconomics시험 공략법에 대한 칼럼입니다.
유학생들이 자주 선택하는 AP 과목 중 하나인 AP Macroeconomics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경제학은 실생활과 밀접한 과목이지만,
유학생들에게는 특히 영어로 개념을 이해하고 서술하는 것이 큰 도전일 수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AP 과목 Macroeconomics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을 다루고,
객관식과 서술형 문제를 풀기 위한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1. AP 과목 기본 경제 개념 (Basic Economic Concepts)
AP Macroeconomics의 첫 단원에서는 경제학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을 다룹니다.
자주 출제되는 AP 과목 개념들을 정리해 볼게요.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어떤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하게 되는 다른 선택지의 가치. 경제에서 모든 결정은 기회비용을 따지게 됩니다.
- 희소성 (Scarcity): 자원은 한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 생산 가능 곡선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PPC): 자원이 고정된 상황에서
두 재화의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기회비용과 효율성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절대 우위와 비교 우위 (Absolute and Comparative Advantage):
절대 우위는 같은 자원으로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고,
비교 우위는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2. 국민소득 및 성장 (National Income and Economic Growth)
AP 과목 경제학에서 국가의 경제적 건강을 판단하는 여러 지표가 있습니다.
이 AP 과목 개념들은 매년 출제되는 핵심 주제들입니다.
-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 총생산): 한 나라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의미합니다.
- 명목 GDP와 실질 GDP (Nominal vs. Real GDP): 명목 GDP는 현재 가격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가격을 사용해 경제 성장을 정확히 측정합니다.
- GDP Deflator: 명목 GDP와 실질 GDP 간의 차이를 통해 인플레이션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경제 성장률 (Economic Growth Rate): 한 나라의 경제가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GDP의 증가율로 나타냅니다.
3.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Inflation and Unemployment)
경제의 두 주요 이슈인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매년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중요한 AP 과목 주제입니다.
- 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 경제의 전반적인 구매력이 감소합니다.
- 실업률 (Unemployment Rate):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들 중 실제로 일하지 못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간의 상충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장기 필립스 곡선은 수직선으로 나타내며, 장기적으로는 두 변수 간에 관계가 없음을 나타냅니다.
4. Aggregate Demand (총수요)와 Aggregate Supply (총공급)
AD-AS 모델은 AP 과목 거시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그래프 중 하나입니다.
각 축과 곡선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Aggregate Demand (총수요): 특정 기간 동안 국민 경제의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총 수요를 나타냅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소비 (Consumption), 투자 (Investment), 정부 지출 (Government Spending),
그리고 순수출 (Net Exports)입니다.
- Aggregate Supply (총공급): 특정 기간 동안 경제 내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총 공급을 나타냅니다.
단기와 장기 AS 곡선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 Short-run Aggregate Supply (SRAS): 단기에는 가격 수준이 상승하면 공급량도 증가하지만,
고정된 생산 능력으로 인해 한계가 있습니다.
o Long-run Aggregate Supply (LRAS): 장기적으로는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도달하여,
공급량은 가격 수준에 상관없이 고정됩니다. 이때 LRAS 곡선은 수직으로 나타납니다.
5. 화폐와 금융정책 (Monetary and Fiscal Policy)
화폐 정책과 재정 정책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제를 안정화하는 데 사용하는 주요 도구들입니다.
- 화폐 공급 (Money Supply): 경제 내에서 사용 가능한 화폐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이자율 (Interest Rate): 차입 비용을 나타내며, 화폐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 재정 정책 (Fiscal Policy): 정부가 세금과 지출을 통해 경제를 조정하는 정책입니다.
확장적 재정 정책(Expansionary Fiscal Policy)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 지출을
증가시키고 세금을 줄이는 정책입니다. 반면, 긴축 재정 정책(Contractionary Fiscal Policy)은 그 반대입니다.
AP 과목 중요 그래프 정리
AP Macroeconomics에서는 여러 그래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 몇 가지 주요 그래프를 정리해 봤습니다.
1. Aggregate Demand-Aggregate Supply (AD-AS) 그래프
- 이 그래프는 총수요와 총공급을 나타내며, 경제의 균형 상태와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을 보여줍니다.
- Aggregate Demand (AD) 곡선: 우하향 곡선으로 나타내며, 물가 수준이 낮을수록 경
제 내에서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총수요가 증가함을 나타냅니다. AD 곡선은 소비(C),
투자(I), 정부 지출(G), 순수출(NX)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o AD 곡선 이동: 재정정책(정부 지출 확대), 통화정책(화폐 공급 증가) 등으로
AD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경제가 활성화됩니다.
- Short-Run Aggregate Supply (SRAS) 곡선: 우상향 곡선으로,
단기적인 총공급을 나타냅니다. 물가 수준이 상승하면 기업들이 더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하려고 하기 때문에 SRAS 곡선은 우상향합니다.
o SRAS 곡선 이동: 생산비용 변화, 임금 상승, 공급 충격(예: 유가 급등) 등이
SRAS 곡선을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 Long-Run Aggregate Supply (LRAS) 곡선: 수직선으로 그려지며,
장기적으로는 경제의 잠재 GDP를 나타냅니다. 장기적으로 물가 수준은 총생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LRAS 곡선은 수직입니다. 이 수직선은 경제의 완전 고용 수준을 의미합니다.
- 균형 (Equilibrium): AD 곡선과 SRAS 곡선이 만나는 점이 단기적 균형을 나타내며,
이때의 물가 수준과 생산량이 경제의 현재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 균형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정부의 정책과 외부 요인에 의해 변화합니다.
- 수요 측면에서의 변화: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확장적 재정정책이나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하면,
AD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는 물가 수준과 실질 GDP를 동시에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반대로, 긴축적 정책이 시행되면 AD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해 물가 수준과 GDP가 감소합니다.
- 공급 측면에서의 변화: 만약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상승하거나 공급 충격이 발생하면,
SRAS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물가 수준은 상승하지만 실질 GDP는 감소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생산성이 증가하면
SRAS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물가 수준은 하락하고 실질 GDP는 증가합니다.
2. AP 과목 Phillips Curve (필립스 곡선)
- 실업률이 낮을수록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실업률이 높을수록 인플레이션이 낮아진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설명합니다.
- Short-Run Phillips Curve (SRPC): 단기 필립스 곡선은 우하향 곡선으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 간의 역관계를 나타냅니다. 경제가 과열되면 실업률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임금과 물가가 상승하여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 Long-Run Phillips Curve (LRPC): 장기 필립스 곡선은 수직선으로 그려지며,
자연 실업률 수준에서 물가와 실업률 사이에 관계가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장기적으로는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조절할 수 있지만,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 단기 필립스 곡선의 이동: 경제에서 수요 충격이 발생하면
단기적으로 SRPC 곡선 상에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AD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실업률이 감소하고 인플레이션이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공급 충격이 발생하면 SRPC 곡선 자체가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게 됩니다.
- 스태그플레이션과 필립스 곡선: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동시에 높아지는 상황)을 겪을 때는 SRPC 곡선이 위로 이동하면서,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함께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줍니다.
- 장기 필립스 곡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업률은
결국 자연 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 수준으로 회귀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실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만 높이는 정책은 효과가 없습니다.
▼AP 과목 통계학 공략법이 궁금하다면▼
'영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시험 공부 비법 공개: AP Biology (0) | 2024.12.27 |
---|---|
아이엘츠시험 직전 일주일 루틴 공개! (0) | 2024.12.13 |
AP시험 계획표와 오답노트 작성법 (0) | 2024.11.19 |
SAT시험 실전 기출 단어장 공유중! (0) | 2024.11.12 |
아이엘츠 라이팅 독학러의 꿀팁! (0) | 2024.11.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P 시험을 보아야 하는 시기 + 시험등록 및 성적확인/리포팅!
AP 시험을 보아야 하는 시기 + 시험등록 및 성적확인/리포팅!
▲위 이미지 클릭시 AP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과 함께 AP 시험에 대한 꿀정보를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AP 시험은 북미의 명문대학교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부터
미리 대학 수준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미국의 비영리기관 College Board가 제공하고 있는 커리큘럼입니다
College Board는 매년 AP 시험을 실시하여 AP과정을 학습한 학생들의 실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험은 매년 5월 첫째 주와 둘째주에 시행되며, 시험의 난이도는 대학교 1,2학년 수준인데요
AP점수는 5점 만점으로 평가되는 이 AP 시험에서 3점 이상을 받으면 해당 과목의 대학교 학점을
미리 취득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성적은 대학 입학 시 가산점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1. AP 시험을 보아야 하는 시기
12학년 가을학기에 마감되는 원서에 AP점수를 제출하기 위해서는
11학년이 끝나는 5월에 AP 시험을 보아야 합니다
11학년 이전의 학생도 준비가 되어 있다면 미리 과목별로 AP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AP과목을 듣지 않았어도 본인이 원하는 과목의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은 주어집니다
※ 5월 실시되는 AP시험을 치르려면 늦어도 3월 1일 이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2. AP 시험 등록 방법
국내에서 AP 시험에 등록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한미교육위원단을 통해서 등록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국내의 지정된 AP센터에서 제공하는 시험에 응시하는 것입니다
특정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험에 응시할 경우, 그 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AP 서비스 센터 (888-225-5427 or apexams@info.collegeboard.org)
혹은 해당 학교에 연락을 해서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적당한 학교를 조사해야 합니다
3. 성적확인 및 리포팅
① 성적 확인
AP공부를 전략적으로 한 후! 성적은 7월중으로 인터넷이나 전화로 확인 가능합니다
② 리포팅
성적 확인 후, 지원할 학교에 성적을 리포팅하는데 리포팅 하는 데 드는 비용은 소요되는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추가리포팅의 경우 기간은 1주일 정도 소요되고, rush리포팅의 경우, 2일정도가 소요된다고 합니다
◈ 시험결과가 대학에 통보되는 시기
AP 점수는 학생이 명시한 희망대학 측에 늦어도 7월 중순까지 통보됩니다
만일 9월 1일까지 시험결과가 도착하지 않으면 AP 서비스센터에 문의 해야 합니다
▲위 이미지 클릭시 AP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 여러분들께 소개드린 AP 시험에 관련한 정보들 외에도
다양한 정보와 전략 및 팁, 후기들은
최대 유학 커뮤니티 사이트인 고우해커스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드린 정보와 고우해커스를 참고하셔서
자신만의 전략을 제대로 세워 AP공부를 끝마쳐
목표하는 기간 내에 AP점수를 GET할 수 있길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AP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접수방법이랑 구성은 체크해야지!
AP시험을 시작하기 전에 접수방법이랑 구성은 체크해야지!
▲위 이미지 클릭시 ap시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AP시험은 북미의 명문대학교에 입학하려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때부터
미리 대학 수준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미국의 비영리기관 College Board가 제공하고 있는 커리큘럼이죠!
College Board는 매년 AP 시험을 실시하여 AP과정을 학습한 학생들의 실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험은 매년 5월 첫째 주와 둘째주에 시행되며, 시험의 난이도는 대학교 1,2학년 수준인데요!
AP준비를 하면 5점 만점으로 평가되는 이 AP시험에서 3점 이상을 받으면
해당 과목의 대학교 학점을 미리 취득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성적은 대학 입학 시 가산점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하니
미리 탄탄히 전략을 가지고 AP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
1. 기본정보
AP시험은 크게 객관식(Multiple-choice Questions)인 sectionⅠ과
주관식(Free Response Questions)인 sectionⅡ로 나뉘어지는데요!
점수는 5점(extremely well qualified), 4점(well qualified), 3점(Qualified), 2점(possibly qualified),
1점(no recommendation)으로 나뉘어 집니다!
AP준비를 하시면 아시겠지만 과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2시간 30분에서 3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또한 AP시험은 과목마다 문항 수, 유형이 조금씩 다르다. 모든 AP시험은 주관식 문제와 에세이 형식,
혹은 문제 해결 형식의 주관식 문제로 구성되고 AP미술과목의 경우, 학생들에게 작품 포트폴리오가 요구되기도 해요!
2. 일정
AP시험의 일정은 고우해커스라는 최대 유학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서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을텐데요!
5월 첫째 주와 둘째 주에 시험이 끝난 후, 6월 중에는 주관식과 포트폴리오의 채점이 대학교수들과
AP 프로그램 교사들로 이루어진 채점단에 의해 진행된다고 합니다!
주관식 채점은 미리 구성된 채점항목과 학생의 답안을 비교하며 이루어지며,
AP시험의 결과는 7월 중 학생 및 학생이 속한 고등학교, 그리고 학생이 지원한 대학교에 통보됩니다!
3. AP 시험을 보아야 하는 시기
12학년 가을학기에 마감되는 원서에 AP성적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11학년이 끝나는
5월에 AP시험을 보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11학년 이전의 학생도 준비가 되어 있다면 미리 과목별로 AP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AP과목을 듣지 않았어도 본인이 원하는 과목의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은 주어지구요!
5월 실시되는 AP시험을 치르려면 늦어도 3월 1일 이전에 신청해야 하고 미리 AP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4. AP 시험 등록 방법
국내에서 AP시험에 등록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번째는 한미교육위원단을 통해서 등록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국내의 지정된
AP센터에서 제공하는 시험에 응시하는 것입니다!
만약 AP준비를 하다보면 시험등록을 위해 특정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험에 응시할 경우,
그 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AP 서비스 센터 (888-225-5427 or apexams@info.collegeboard.org) 혹은
해당 학교에 연락을 해서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적당한 학교를 조사해야 하니 참고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위 이미지 클릭시 ap시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오늘 여러분들께 소개드린 AP시험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은 앞서 이야기드린 것처럼
최대 유학 커뮤니티 사이트인 고우해커스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데요!
AP 공부를 하기 전에 미리 AP시험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여러 후기들을 살펴보신 다음!
AP준비를 하신다면 보다 전략적으로 준비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들 그럼 원하는 목표기간 내에 목표점수를 달성할 수 있길 응원하겠습니다! 화이팅!! :)
고우해커스 BEST 무료 학습컨텐츠 확인하기!
[최신 업데이트] 2018 토플 시험일정 & 성적발표일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