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공부 2025. 5. 20. 10:00

아이엘츠 시험 스피킹 & 라이팅 점수 향상 비법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 Bostonia을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보통의 한국식 영어 교육을 받으신 분들이라면 IELTS 중에서도 스피킹과 라이팅에서 고전하시고 계실 겁니다. 그것이 당연한 것이 수능 영어나 TOEIC 공부는 리딩과 리스닝 위주여서 상대적으로 스피킹과 라이팅 공부를 안 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처음 아이엘츠 시험 시작할 때 스피킹과 라이팅 5점, 6점이었고, 아이엘츠 시험 공부를 한 후에 최고점 기준으로 각각 7.5점, 7점으로 올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체득한 점수 올리는 팁에 대해 공유해보겠습니다.



아이엘츠 시험 스피킹과 라이팅 각각 과목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가 Part2와 Task2입니다. 둘 다 서론-본론(body1&2)-결론 구조로 말하거나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런데 이 두가지는 특정 이슈에 대해 대답하고 쓰는 구조가 에세이식으로 사실상 같습니다. 그래서 하나를 준비하다 보면 다른 하나에도 저절로 도움이 됩니다. 스피킹과 리이팅 점수가 낮으신 분들은 최우선적으로 이 파트에 시간을 투자하셔야 하는 이유입니다.



오늘은 아이엘츠 시험 라이팅 Task 2 점수 올리는 법에 대해 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Writing Task2는 40분간 250단어 이상의 에세이를 써야합니다. 할 말을 다 썼다면 굳이 양을 더 넘치게 쓰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글이 늘어날 수록 오류나 문법실수를 저지를 확률도 같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문제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출처 : IELTS IDP

 

 문제유형

 

1. think about your opinion, 

 

2. how you would discuss both views,

 

3.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iffering views, 

 

4. any problems or solutions associated with the topic, etc.

 

주로 특정 주제에 대한 1. 본인의 생각을 묻거나, 2. 찬성/반대 두가지 관점, 3. 장점/단점, 4. 해결책을 묻습니다. 봤던 주제여도 묻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아이엘츠 시험 문제를 주의깊게 읽어보셔야 합니다.



 자주 나오는 아이엘츠 시험 주제 

 

크게 6가지의 주제가 자주 나오며 예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스피킹 주제와도 제법 겹칩니다.

 

1. Education

  • Many feel that the common educational system of teachers and students in a classroom will be replaced by the year 2050. Do you agree with this view? Give your opinion. 
  • Education should be free to all people and should be paid for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Do you agree or disagree with this statement?

 

2. Technology

  • Nowadays, children watch a lot of TV and play video games. However, some think that these activities are not beneficial for a child’s mental health. To what extent do you agree or disagree?
  • Modern technology now allows rapid and uncontrolled access to information in many countries. This is a danger to our societies. To what extent do you agree or disagree?
 
3. Health
  • Doctors recommend that older people exercise regularly. However, many of them do not get enough exercise. What are the reasons? What can be done to encourage them to exercise more? 
  • Healthcare costs are increasing, and many governments are finding it difficult to balance their healthcare budget. Should citizens be responsible for their health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or should the government provide free healthcare for all? Discuss your viewpoint on this issue.

 

4. Environment

  • Some feel that it is impossible for a country to be economically progress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t the same time. Others disagree with this view. Discuss both points of view and give your opinion.
  • Water pollution has become an increasing problem over the past few decades. What causes water pollution? How can we prevent this problem?
 
5. Government Spending
  • Governments should lower arts budgets to allocate more money to education. Do you agree with this view?
  • Some believe governments should spend more money on improving roads and highways, while some think money should be spent improving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trains, and subways. Discuss both points of view and give your opinion.
 
6. Sociology
  • Many parents put a lot of pressure on their children to succeed. To what extent do you agree?
  • Most societies are based on rules and laws. If individuals were free to do whatever they wanted, society could not function. To what extent do you agree or disagree?
 
 대응 전략
 
1. 뉴스에 관심 갖기 - 키워드 뽑기
 
평소에 인터넷 뉴스를 보면서 시사 감각을 길러야 합니다. 영어 신문을 보면 제일 좋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한국 뉴스를 읽고 궁금한 단어를 영어로 찾아보면서 키워드를 메모해 둘 것을 추천합니다.
 
최근 빈출 이슈를 생각해 보면,
 
계엄령 martial law,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Trump administration's tariff policy, 미국의 자국우선주의 America First policy, 반세계화 deglobalization, 이민정책 immigration policy
 
등이 떠오릅니다.
 
위에서 나온 healthcare costs 인상 관련해서, 작년 12월 미국에서 큰 이슈가 됐던 유나이티드헬스케어(UnitedHealthcare) CEO가 총격으로 사망한 사건을 예로 들면서 지나친 민간 부담은 사회적 혼란과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할 수 있겠습니다.   
2. 자주 나오는 아이엘츠 시험 주제별 공통 단어 정리하기
 
Education:
curriculum, literacy, academic achievement, vocational training, compulsory education, distance learning, scholarship, student loan,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innovation, auto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yber security, digital divide, data privacy, smart devices, online platforms, IT infrastructure

 

Health:

public health, preventive care, mental health, healthcare system, obesity, nutrition, chronic disease, medical access, universal healthcare, vaccination

 

Environment:

climate change, carbon emissions, renewable energy, sustainability, pollution, deforestation, biodiversity, greenhouse gases, recycling, conservation

 

Government Spending:

fiscal policy, budget allocation, public sector, infrastructure investment, social welfare, defense spending, education funding, tax revenue, subsidies, economic stimulus, overriding

 

Sociology:

social inequality, gender roles, cultural norms, social mobility, family structure, urbanization, social integration, demographics, community support, migration

 

라이팅은 브레인스토밍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실전에서는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를 보자마자 바로 써 나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평소에 예상질문들을 50~100개 정도 리스트업하고 장점과 단점, 나의 입장 등을 쓴다고 했을 때 반드시 body에 나와야 할 나만의 핵심 단어들을 위 처럼 정리해둡니다. Chat gpt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실전에서는 단어가 한국어로만 생각나면 그 생각은 못 쓰는 것이 됩니다.   

 



3. 아이엘츠 시험 직접 써보기 - Chat gpt 활용!
 
라이팅은 IELTS 과목 중에서도 가장 정직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투입한 시간만큼 비례해서 점수가 오르는 것 같습니다. 남이 써놓은 모범답안만 몇 번 본다고 본인의 라이팅 실력이 올라가진 않습니다. 직접 타자를 치며 쳐봐야 시간 내 오타를 줄이면서 생각 정리도 해가며 에세이를 시간 내에 써 낼 수 있습니다. 가급적 매일 라이팅을 쓰고 Chat gpt를 통해 점검을 한 뒤 모범답안까지 본다면 어느 부분을 어떻게 써야할 지 감이 잡힐 것입니다.
 

4. 개괄적인 아이엘츠 시험 템플릿 준비
 
제가 느끼기에 라이팅 7점대 까지는 템플릿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됩니다. 서론과 결론은 기계적으로 본인이 쓰던 문장들을 껴 넣어서 쓰면 금방 완성이 되기 때문에 미리 준비를 해둡니다. 
 
도입부는 paraphrase the question을 하고나서 내 입장을 명확히 밝힙니다. 
  • Many people believe that [rephrased topic].
    In my opinion, I completely agree / disagree with this view because [brief reason]
본론 body 2개는 Topic 문장을 가장 먼저 쓰고 나서 설명 및 예시를 씁니다.
  • Firstly, [main reason].
  • This is because [explanation].
  • For instance, [specific example].
  • 소결론은 써도 되고 안 써도 무방합니다.
결론은 가장 힘을 덜 들여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내 의견을 요약하고 다시 한번 나의 입장을 명확히 씁니다.
  • In conclusion, I strongly believe that [restate opinion].
  • This is because [main point 1] and [main point 2].
  • Governments / individuals should [optional recommendation].


5. 아이엘츠 시험 오류 줄이기
 
본인은 선방했다고 생각했는데 점수가 6점대 나오시는 분들 계실겁니다. 아마도 이런 분들은 off-topic이 아니었다면 스펠링 오류와 문법 실수일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평소에도 마지막 5분은 오류만 잡아내는 시간으로 할당해서 검수만 하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마지막에 다시 보면 급하게 쓰느라 놓쳤던 실수들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따로 오류만 체크하는 시간을 꼭 가져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 경험상 라이팅보다 스피킹 점수 올리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웠습니다. 즉, 라이팅은 가장 점수가 더디게 오르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한번 점수가 오르면 점수가 잘 내려가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공부 시간이 별로 없으신 분들은 우선 스피킹에 시간을 중점적으로 투자하시고 남는 시간은 full essay를 매일 쓰기 보다는 예상 질문들에 대한 핵심 영어 keyword를 외우고 템플릿을 만드는데 쓰시면 시간 대비 점수 상승폭이 가장 클 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처음에 언급했듯이 스피킹 Part2를 꼼꼼히 준비하다보면 라이팅 주제들도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근거와 예시만 잘 갖추고 있으면 라이팅 6점은 나올 것이고 거기에 얼마나 많이 써봤느냐에 따라 7점 이상 되느냐 안 되느냐가 결정될 것입니다. 그러니 스피킹 먼저 준비하시다보면 라이팅 Tast2도 잘 할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스피킹 Part2 말하실 때도 라이팅처럼 간단하게 서론(질문 paraphrase) - 나의 생각과 예시 1,2,3 - 결론(요약 또는 다짐, 생각)으로 진행하시면 2분 채우기가 수월해집니다. 
 
이 두 개는 연동되어 있으니 투자 대비 성과가 좋은 아이엘츠 시험 파트라고 하겠습니다.

 

 

▼아이엘츠 라이팅 템플릿 확인하기▼

 

IELTS 비법노트:: 고우해커스

나만 알고싶은 아이엘츠 라이팅 템플릿 모음! 과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 part1 처음 글을 시작할 때 문제를 패러프레이징 해야합니다. 1. 지도, 그래프, 표, 그림 등을 묘사하는 글이라면 show, descri

www.gohacker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