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6. 3. 1. 09:56

NEW SAT리딩 핵심 완벽분석!

NEW SAT리딩 핵심 완벽분석

 

 

2016년부터 새로운 형식으로 시험 구성이 바뀌는 SAT!

SAT시험을 분비하는 분들이라면 꼭 체크하셔야겠죠??

오늘은 SAT리딩 섹션의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재 SAT와 NEW SAT리딩 섹션 비교 


 차이점 1  문제 수 및 시간이 줄어듭니다.

기존의 SAT reading은 67문제를 70분에 풀어야 하는 것인데 반해

2016년도부터 개편되는 sat는 52문제를 65분에 풀게 됩니다.

지문의 어휘수는 총 3,250여개로 이루어진 4개의 Single Passages와

500~700여개의 단어로 구성된 1개 이상의 paired set(double-passage)로 나뉘어 집니다.


 차이점 2  실용적인 단어문제가 출제됩니다.

college board 는 시험에서만 활용이 되는 다소 사용도가 적은 비실용적인 단어들을

더 이상 테스트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어휘능력 문제인 Sentence Completion 유형은

개편되는 SAT에선 reading 지문으로 통합되게 됩니다.

문장 속에서 사용된 어휘의 의미를 물어보는 문제는 계속 출제되고

일반적으로 단어의 Second Meaning 이 정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단어의 뉘앙스를 아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되겠습니다.

 

 

 차이점 3  감점제도가 폐지됩니다.

현 sat에서는 오답에 대한 감점제도가 있지만,

새롭게 개정되는 시험에서는 오답에 부과하던 4분의 1점 감점 제도가 폐지되게 됩니다.

따라서 시험을 치르는 학생들은 맞게 선택한 질문에 해당되는 점수만을 받게 됩니다.

 

 차이점 4  지문의 유형이 다양해집니다.

지문의 내용도 큰 변화가 있어서 2016년도의 지문은

 현 SAT가 작가의 Essay, Fiction의 한 부분을 발췌해서 문제를 출제했다면,

새롭게 개편되는 SAT에서의 지문의 내용은

과학, 역사, 사회연구분야, 미국 독립선언문, 인권 헌장, 합중국 문서 등의 Founding documents들,

세계적인 유명인사들의 연설문 등을 다루게 됩니다.

지문에 대한 논리적 흐름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이해를 요구하는 학습이 절실해 졌습니다.

 

 

 

2. NEW SAT reading의 세부 구성 변화 

 

 세부변화 1  단어를 주어진 문맥을 통해 이해하는 방식으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현 SAT에서는 없는 방식으로 학생들이 답을 선택할 때 지문에서 근거를 찾아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second meaning 을 알고 있어야 이해가 가능한 ‘synthesis’, ‘empirical’ 등의 단어를 포함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지문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는 어휘들의 뉘앙스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해야겠습니다.

 

 세부변화 2  분석능력이 중요해집니다.

또한 익숙하지 않은 법률용어나 과학용어 등 시험에 지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분야별 필수어휘를

추가적으로 정리하여 학습하는것도 필수로 생각해야 합니다.

즉, 문제의 답을 선택한 근거(textual evidence)가 문장의 어느 부분에서 나오는지를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답을 정확한 이해를 통해 선택하였는지,

대략적인 이해만으로 추측하였는 지를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세부변화 3  문제 내용 및 출제 비율이 달라집니다.

1. U.S and world literature

20 % 비율로 출제 되는데 현 SAT 와 동일한 문제 유형이지만

상대적으로 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평소에 잘 읽지 않는 문학 작품들에서 출제되게 됩니다.

2. History/ Social Studies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지문에서 인용한 구절 이나 특정 어휘들을 이해해야

문제를 정확하게 풀 수 있기 때문에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3. 과학 지문 분야

대폭 확대되어 40% 비율로 문제가 출제됩니다.

개편되는 SAT 의 두드러지는 변화 중 하나는 그래프나 테이블, 차트 분석 문제가 출제된다는 점인데요,

데이터나, 그래픽, 테이블 등을 지문 내용과 연결시켜서 분석하여

결론을 내리게 하는 새로운 형식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SAT리딩 상당수 부분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꼭꼭 체크하시고

시험에 지장없도록 공부합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