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고등학생유학, 동아리 가입하기!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 그린님의 칼럼을 재구성하여 작성했습니다]
✔ 고등학생유학, 동아리 가입하기!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4.gif)
안녕하세요 고우해커스입니다!
오늘은 고등학생유학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와 함께 알아보아요 :)
동아리 리스트 찾기
일단 고등학생유학 어떤 동아리를 가입하기 전에 학교에 있는 동아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해요.
학교를 고르지 않았다면 제공하는 고등학생유학 동아리의 종류/개수도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
학교마다 있는 동아리 개수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고등학생유학 하면서 잘 알아보고 가야 합니다.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고등학생유학을 하면서 운이 좋게
선택지가 꽤 있는 학교들을 다녔어서 동아리 걱정은 한 번도 안 했다고 해요.
보통 고등학생유학 학교 홈페이지에 가면
Activities/ Extracurriculars/ Clubs and Organizations
페이지에 들어가면 리스트가 쫙 나와요!
종류를 나눠보자면 5가지가 있어요.
예체능 - 운동/미술/음악/ 미디어 (ex. Film and Animation Club, 태권도, Tri-M)
Honor Society/ 언어 - 공부/ 학업적 (National English Honor, Social Studies Honor, Technical Honor, 스페인어
봉사 동아리 (ex. Key Club, National Honor Society, Interact Club)
취미 동아리 - 요리, 컴퓨터, 책, 등등 (ex. Writing Club, Korean Cultural Club, Culinary Club)
종교 동아리 (ex. First Priority)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고등학생유학 동아리에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Honor Society들이라고 해요.
학점이 3.5~3.7은 넘어야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보통 필수로 해야 하는 활동 없이 그냥 가입할 수 있는 동아리들이에요.
공부 관련/ 학업 관련 동아리들이고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많이 가입하는 편이에요.
그리고 전국적으로 관리하는 위원회에 신청을 해서
동아리를 그 학교에 개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특정 학교에서만 있는 게 아니라 전학을 해도
새로운 학교에도 개설되어 있을 확률이 아주 높아요.
더 큰 스케일에 Organization이 있는 거여서
고등학생유학 이후
대학 진학할 때도 더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것 같아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고등학생유학을 하면서
가입하고 활동한 동아리의 90%는
다 Honor Soceity/ 학업 관련이었다고 해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대학 입시를 위해서는
학업적인 동아리만 대학에 제출했는데
개인 만족을 위해서 들어갔던 다른 동아리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제일 좋았던 동아리는 First Priority였다고 해요.
크리스천 종교 동아리였는데 친구가 임원이어서
기독교에 대해서 그냥 더 알아보려고 가입했다고 해요.
분위기가 너무 좋았고 평소에 갖고 있던 궁금증을
물어볼 수 있는 시간이어서 많은 것을 얻어갔던 경험이었다고 해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아직도 무교지만
훨씬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기회였다고 합니다.
동아리 선택하기
고등학생유학 동아리를 선택할 때 중요한 점은
얼마나 전공적합성과 맞는지 인 것 같아요.
결국에 대학 입시를 위해서 가입하는 동아리들이 있는 만큼
“내가 이 학과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경영이면 비즈니스나 마케팅 동아리,
수학이면 수학 Honor Society, 영어면 영어 Honor Society 등!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를 오래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해요.
고등학생유학에서 부가적으로 전공 관련 동아리 말고
다른 학업적인 동아리를 들어가는 걸 추천해요.
문과 쪽 전공을 희망한다면 영어/사회 동아리를 둘 다 들어간다던지,
그리고 시간과 여건이 된다면 봉사 동아리도 하나 하면 좋아요.
제일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하는 것은 National Honor Society에요.
너무 다 해서 특색은 없지만 나중에 봉사시간 쓰기에도 유용하고
너무 다하니까 나도 안 하면 안 될 것 같은 느낌입니다.
동아리 개수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시간이에요.
일단 우선순위로 “주”는 내신과 시험이고 “부”로 동아리를 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내신을 위해서 들이는 시간을 잡아먹는 다면 동아리는 줄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미팅도 많고 봉사시간을 많이 채워야 되는데 시간이 안된다면
과감히 탈퇴하는 게 답일 수도 있어요.
봉사 시간 몇 시간 더 채우려고 내신을 소홀히하면 안되겠죠?
가입하기 전에 담당 선생님이나 주변 친구들한테
시간을 얼마나 할애해야 되는지 물어보고 나서
전체적인 계획을 짜고 가입하는 걸 추천드려요.
일단 다 가입했다가 하나씩 탈퇴하거나 얘기 안 하고
미팅에 안 가는 것도 조금 책임감이 없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보수적으로 신청을 하고 만약 나중에 탈퇴해야 할 때가 와도
선생님께 얘기를 하고 예의 있게 나오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가입했다가 나오겠다고 얘기하는 것보다 나중에
동아리에 들어가고 싶다고 얘기하는 게 훨씬 쉽고 불편하지 않은 것 같아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코로나로
온라인 수업을 한 직후에 대면으로 학교를 다닐 때
총 6-7개에 가입되어 있었다고 해요.
타이밍이 좋았던 게 학기초에 가입만 하고
1년 내내 거의 활동이 없었어서
개수를 저렇게 많이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동아리 임원하는 방법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많은 동아리에서는 그냥 일반 부원으로 있었지만
4개에서 임원을 했었다고 해요.
2개는 회장, 2개는 임원이었다고 합니다!
일단 동아리마다 다르지만
몇 년 동안 부원을 해야 되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는 신입이어도 하고 싶은 사람이 없어서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지원해서 했던 경우도 있었다고 해요.
모든 경우에는 도전/시도가 중요한 것 같아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도
사실 100% 될 거라고 지원했던 건 아니고 혹시 되면 좋으니까
반신반의하면서 지원했었는데 운이 좋게 다 된 케이스였다고 합니다.
지원하기 전에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담당 선생님께 꼭 시간 부담을 물어봤다고 해요.
할 일이 많다는 얘기를 들으면 다시 고민해보고 결정하는 편이라고 합니다.
임원 지원은 동아리 가입보다 더 중간에 그만둘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하는 게 중요해요.
다른 경우에는 부원들한테 간단한 소개를 하고 투표하는 방식이었는데
자기소개를 할 때 간결하게, 어필할 수 있는 거 한 개 정도 있으면 될 것 같아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누구고 몇 학년이고 전에도 임원한 경험 있다.
동아리 담당 선생님 수업을 듣고 있어서 의사소통이 빠르게 된다.” 이 정도로 끝냈다고 해요.
자기소개를 할 때 기억해야 될 건 학생들은 길고 장황하게
왜 이 자리의 적임자인지 듣고 싶어 하지 않겠죠.
부원들의 입장을 생각하면 빨리 간결하게 좋은 인상을 남기는 한 사람을 뽑게 되기 때문에
길게 자기가 왜 임원 자리에 적합한지 발표하면 안 뽑아줄 수도 있어요.
실제로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간단하게 소개하고 나서 다른 후보도 발표를 했는데
“자기는 성적이 얼마고, 역사를 너무 좋아하고 (사회/역사 동아리였는데)
너무 좋아해서 혼자 대학 역사 수업도 들었고,
어느 교수의 논문을 도와줬고 등등”
진짜 길게 얘기했지만 근데 결국에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뽑혔다고 합니다.
다시 생각해보면 그 친구가 되는 게 더 맞았을 수도 있었지만
결국 부원들의 투표로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회장이 됐다고 해요.
이때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느낀 것은
학생/부원 투표에서는 길게 자기 스펙을 얘기하는 게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만약 선생님이 임원을 뽑는 상황이면
자기가 왜 임원 자리에 적합한지 더 많이 얘기하는 게 맞겠죠.
발표에 대해서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고
일단 시도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졸업 시기 맞추기
학교마다 다르지만 보통 12학년 초에 동아리를 많이 가입해서
졸업할 때 술을 많이 받으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졸업할 때 동아리에 들어가 있으면
각 동아리를 상징하는 술을 증정해 주는데 받으려고
12학년 때 몰아서 동아리에 가입하는 학생들도 많아요.
1년 동안만 성실하게 활동하면 되고
특히 올해는 코로나 때문에 활동을 제대로 안 한 동아리들이 많았어요.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총 7개로 졸업했다고 합니다.
NHS는 목에 거는 형식이고 나머지는 줄이었다고 해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3.gif)
이렇게 고등학생유학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하단 링크를 클릭하면
고우해커스에서 원문 확인이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래 배너를 누르시면 고우해커스에서 더 많은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