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3. 1. 18. 11:01

GRE시험, 토플과 병행하기!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 리유님의 칼럼을 재구성하여 작성했습니다]

 

​✔ GRE시험, 토플과 병행하기! ✔

 

 

안녕하세요 고우해커스입니다!

 

오늘은 GRE시험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와 함께 알아보아요 :)

 

 

 

토플과 GRE의 차이점?

토플과 GRE시험은 둘 다 ETS에서 주관하는 공인 영어 시험입니다.

눈에 띄는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시험 과목의 차이가 있습니다.

 

토플은 대부분 아시듯이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GRE시험은 조금 생소하지만 Verbal Reasoning, Quantitative Reasoning, Analytical Writing,

즉 쉽게 버벌, 퀀트(수학), 라이팅 총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아 리딩이랑 라이팅이 겹치네~'라고 생각하기엔

둘은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 토플과 GRE은 전혀 다른 시험입니다.

토플과 GRE시험의 성격은 시험의 의의를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토플 시험은 외국어로서의 영어 시험 (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의 약자로

학교의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는 4가지 영어 기술인

Read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을 모두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대부분의 영어권 대학이나 대학원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이

입학시 영어로 이루어지는 강의를 듣고 이해하며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

하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토플 성적을 지원 요건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반면, GRE는 Graduate Record Examination의 약자로,

대학원 지원자가 단순히 영어로 소통할 수 있는지를 넘어, 영어로 된 논문을 읽고 작성하는 데

어려움이 없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척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GRE시험의 시험 과목명이 'Analytical', 'Reasoning'을 포함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토플 리딩의 경우, 지시어가 가리키는 대상을 찾거나, 지문의 정보를 범주에 맞게 분류하거나,

주어진 글의 핵심 정보를 가장 정확하게 바꿔 쓴 문장을 찾는 등

지문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해 답을 찾는 방식을 이용하는 질문이 대부분입니다.

 

흔히 말하는 "문제 속에 답이 있다"라는 말이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유형이 토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GRE시험의 Verbal Reasoning의 경우,

문제 밖에서 본인의 논리력을 전개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유형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SE (Sentence Equivalence)유형의 경우 처음에는 단순히

동일한 뜻의 두 단어를 매치시키면 정답이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1) 같은 의미를 가지지만 문장 내에 일관성 있게(coherently) 들어가지 않는 단어 pair는 오답으로 분류되고

2) 서로 보기에 다른 의미를 가진 단어이지만 문장에 넣어보면

결과적으로 전체 문장이 동일한 뜻을 가지도록 하는 단어 pair가 정답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응시자가 단순히 단어를 외우는 것만이 아니라,

단어가 포함된 문장 전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

그리고 단어가 가진 굉장히 미묘한 어감을 감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긴 지문을 읽고 다수의 문제를 푸는 Reading Comprehension에서도

1) 전체 지문에서 미루어 본 화자의 어조

2) 화자가 동의할 것 같은 statement 고르기

3) 전체 지문의 구조 고르기

4) 다음 중 사실일 경우 화자의 주장을 가장 약화시킬 수 있을 것 같은

statement 고르기 등 지문만 해석해서는 풀 수 없는 문제가 많습니다.

 

 

 

 

Writing도 비슷한 듯 전혀 다른 점이 있습니다.

토플 라이팅의 경우, Integrated Task(통합형 문제)와

Independent Task(독립형 문제)로 나뉩니다.

 

통합형 문제는 각각 lecture와 passage를 읽고 두 내용을 요약하며 비교해서 쓰는 문제이고,

독립형은 특정 주제에 대해 본인의 생각을 쓰는 문제입니다.

 

통합형 문제도 역시 문제 속에 답이 있다고 할 수 있고, 독립형의 경우 본인의 생각의 근거를

본인의 경험 혹은 대중적인 합의 등을 근거로 들어서

합리적으로 전개해 나가는 게 문제의 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걸 먼저 준비해야 할까요?

그래서, 결국 어떤 걸 먼저 준비해야 하는 걸까요? 솔직히 정답은 없습니다.

GRE시험이 더 어려우니 매도 먼저 맞는 게 낫다고 GRE시험을 먼저 준비하는 분,

토플이 더 쉬우니 토플부터 준비하는 분, 그리고 두 시험을 동시에 준비하는 분까지

두 시험을 대비하는 자세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과목이 총 7개이기 때문에 그나마 비슷한 버벌과

리딩, 라이팅 과목들을 같이 준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장 쉽게 결정하는 방법은 본인의 영어 실력을 기준으로 보면 됩니다.

토플을 먼저 준비하시라고 권하는 유형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로 토플에서 리딩이 어려우신 분들(20점 초반 이하)은

GRE시험을 들어가기 전에 토플을 먼저 준비하라고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토플 리딩의 맥락 해석이 어렵다면 GRE시험

긴 지문 유형 (RC: Reading Comprehension)에서

문제를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토플에서 긴 지문 속에서 중요 문장과 맥락을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을 익히시고

GRE시험 버벌 공부를 하시는 게, 버벌의 벽을 좀 더 쉽게 오르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로, 토플 지문이나 리스닝 스크립트를 읽을 때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가 많거나,

이해가 되지 않는 단어가 있으면 맥락 파악이 어려우신 분들도

토플 실력을 먼저 다지시고 GRE 준비를 시작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GRE시험 단어는 논문, 논평 등에 주로 사용되는

단어로 구성되어 토플보다 높은 난이도를 자랑합니다.

토플 단어장+3000단어가 GRE시험 단어라고

많이들 말하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GRE시험 유형 중 하나인 TC(Text Completion), SE (Sentence Equivalence)는

어려운 단어들 중 동의어와 유사어 등을 정확히 골라서 빈칸에 넣는 시험들이기 때문에

단어 암기량이 실력의 절반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토플 단어를 숙지하시고 GRE시험 단어를 외우시는 게 실력에 실력을 차근차근 쌓아가는 방법입니다.

토플과 GRE 동시에 공부할 때 꼭 주의하셔야 할 것

시험을 보기 전과 시험을 본 후에 느끼는 아쉬운 점은 아주 다른 것 같습니다.

시험을 보기 전까지 공부를 충분히 하지 못한 아쉬움과는 별개로, 정말 이 부분을 알았다면

시험을 조금 더 나은 환경에서/더 준비된 마음으로 보지 않았을까 싶은 부분이 여러 가지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 토플, GRE시험 이 두시험을 공부하실 때 주의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토플 시험은 시험 시작 시간보다 일찍 입장하세요.

토플과 GRE시험은 시험장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많은 수의 응시생들이 한 공간에서 시험을 보고

시험 시작을 일일이 시험 도우미 분들이 눌러서 시작을 시켜줘야 하기 때문에

동시에 시험을 시작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험장에 도착한 응시생 순서대로 번호표를 받고 번호표 순서대로 시험장에 입장 후 착석하면

시험 도우미가 시험이 시작하도록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리유님은 토플시험 날 정시에 맞춰 시험장에 도착했지만

리스닝을 시작하는 동안 옆 분이 우렁찬 목소리로 스피킹 시험을 치루고 있는 것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순간 옆자리 분의 목소리가 헤드폰을 뚫고 들어왔을 때 너무 당황스러웠다고 하니

일찍 토플 시험장에 입장하시길 바랍니다.

 

 

📣 GRE의 어려움에 치여서 토플 스피킹을 멀리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만약 여러분이 GRE시험과 토플을 동시에 준비하고 계신다면, 많이 힘드실 겁니다.

토플 문제를 풀다 GRE시험 문제를 풀면 갑자기 지문에서 보이지 않는 내용을 유추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울 거고

GRE시험 문제를 풀다가 토플 문제를 풀면 지문 속에서 답을 찾아야 하는데

계속 '숨겨진 의미'를 찾아서 헤매게 될지도 모릅니다.

 

다만, 공부를 하시다가 GRE시험 버벌이나 퀀트, 혹은 라이팅 문제를 잘 풀게 되신다고 해서

토플에서 고득점을 올릴 것이라고 안심하시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GRE시험은 분명 토플보다 체감 난이도가 어려운 시험입니다.

 

그러나 토플은 GRE와 평가하는 내용이 다른 시험입니다.

 

이름은 비슷할지 모르지만 다른 과목들로 구성되어 있고,

분명히 다른 풀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 토플 라이팅의 기준으로 GRE 라이팅을 준비하시면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토플의 독립형 문제는 본인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해나가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반면

GRE Issue Task는 정치, 경제, 사회, 과학 등 여러 분야의 소재를 근거로 들어서

본인이 대학원생 수준의 배경 지식을 가지고 이 논지를 반박할 수 있는 것을 보이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GRE Argument Task는 토플 통합형 문제와 다르게 지문에서 보이지 않는 헛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토플보다 템플릿에 덜 의존할 수 밖에 없고, 본인의 논리력에 기대야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가지 다행인 점은

GRE 라이팅은 문제은행식이라는 점입니다.

 

문제의 어조와 내용은 조금씩은 달라질 수 있으나, 중심 주제(대학 교육, 법, 사회제도 등)는

몇가지 주제가 공통적으로 나오는 식이기 때문에 충분히 많은 양의 예시 문제를 연습하시고

많은 배경지식을 가지신 분이라면 GRE시험 라이팅을 무리 없게 고득점을 받으시리라 생각합니다.

 

GRE시험 라이팅을 준비하시는 여러분은 이런 차이를 기억하고 공부하셔서,

GRE시험 라이팅에 익숙한 상태로 시험장에 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이렇게 GRE시험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하단 링크를 클릭하면

고우해커스에서 원문 확인이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래 배너를 누르시면 고우해커스에서 더 많은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