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AP 시험 준비 타임라인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 그린님의 칼럼을 재구성하여 작성했습니다]
✔ AP 시험 준비 타임라인 ✔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1.gif)
안녕하세요 고우해커스입니다!
오늘은 AP 시험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고우해커스 고득점멘토와 함께 알아보아요 :)
content based / skill based
AP시험은 content based / skill based로 나누어 집니다!
그리고 어떤 유형의 과목인지에 따라서
공부방법이 달라지는데요~!
먼저 미국대학교 준비 AP 시험에서
content based는 암기 과목이에요.
1년 동안 배운 개념들을 알고 있어야 되고
또 응용할 수 있어야 하며
흔히 psychology, biology, us history 등
개념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미국대학교 준비 AP 시험에서 skill based는
개념보다 자신의 실력을 보여야 되는 과목이에요.
예를 들면 english literature, english language, spanish language 등
외워야 되는 개념이 아니라 언어능력/ 글쓰기 능력을 기반으로
문제를 풀어야 되는 과목입니다.
특정하게 외워야 할 개념이 없고 문제를 예측할 수 없는 게 특징입니다.
12월에 진도의 ½ 복습
AP 시험 준비할때 난이도는 비교적 낮지만
꾸준함이 필요한 암기과목 공부 방법입니다!
겨울 방학에 3-4주 정도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이때 복습을 하셨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배운 1학기 내용 혹은 독학하시면
배워야 되는 내용의 1/2을 이때 진도를 나간다고 하는데요!
독학하시는 분들은 처음 배우는 내용이기 때문에
조금 더 집중해서 내용을 흡수해주어야 한다고 해요 :-)
유튜브, AP Classroom 등으로 인강과
Princeton, Barrons 등의 교재를 함께 보면서
필기도 하면서 미국대학교 AP 시험 공부를 하셨다고 합니다!
응용이나 문제풀이보다는
앞 단원 내용을 시험날 가서 까먹지 않도록
다시 리마인드 시키는 과정이라고 해요.
이런 과정이 없으면 시험 날짜에 가까워졌는데
앞부분 내용을 까먹어서 다시 배워야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겨울방학이 지나면 시간이 더 없어지기 때문에
지금 많이 해놔야 나중에 덜 부담스럽다고 해요 ㅎㅎ
만약 시간이 남는다면 진도를 더 나가서
예습을 하면 미국대학교 준비에 엄청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2학기에 온전히 AP에 집중할 수 있게
매주 있었던 AP US History 필기 숙제를
겨울 방학 때 마지막 단원까지 다 끝냈다고 해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8.gif)
그래서 학기 중에는 숙제할 시간에
AP 시험 공부를 더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
2월 말까지 모든 개념 진도 나가기
겨울 방학이 끝나고 1-2월에 학교에서 진도를 나갈 텐데요.
학교 진도보다 더 빨리 마지막 단원까지 예습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응용문제를 풀 수 있는 충분한 시이 필요한데
학교 진도를 따라가면 정작 연습할 수 있는 시간은
2주밖에 없는 경우를 종종 봤기 때문이라고 해요.
이때 학교를 다니시는 분들은
어차피 학교에서 나머지를 다시 배우기 때문에
예습을 100% 이해하지 않아도 되지만,
3월부터 모의고사를 풀 계획이라면
내용을 한 번이라도 봐 둬야 문제를 풀 때 더 수월하다고 합니다!
AP 시험을 독학하신다면
12월에 다 못 나간 진도를 나가시면 된다고 합니다.
이때도 12월과 똑같이 인강과 교재를 보면서
함께 필기도 하면서 내용을 꼼꼼히 봐주는 것이 좋다고 해요!
2월 말 까지 주관식 rubric을 공부
자신의 실력을 기반으로한 skill based 과목 공부 방법!
english language/ literature 같은 과목들은
문제풀이를 하기 전에 할 수 있는 “개념” 공부는
주관식 에세이가 어떤 부분에서 점수를 주는지 파악하는 단계라고 합니다.
에세이에 어떤 부분이 있어야 그 점수를 얻을 수 있는지를 알고 있어야지
시험에서 글을 쓸 때 이에 맞게 계획을 짤 수 있다고 해요.
학생들 중에 글을 전반적으로 잘 쓰지만
이런 AP 시험에서 점수가 안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유는 rubric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물론 좋은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글을 쓰는 것이 더 중요하겠죠?
3월-4월에는 실전 연습
3월 부터는 AP 시험
암기과목/ skill based 과목 방식이 같습니다!
모의고사 풀고, 오답 노트하고, 단원별 FRQ 풀고,
단원별 MCQ 풀고, 모르는 개념을 정비합니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반복하면 됩니다!
이제 모든 내용을 배운 단계에서 연습을 해야겠죠!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칼리지보드에서 나오는
IPE (International Practice Exam)을 주로 사용하신다고 합니다.
시험은 문제에 익숙해지고 많이 풀어보는 게 필수라고 해요 :-)
구글에 AP ____ unit ___ multiple choice quizlet
/ AP ____ unit ____ APC (Ap classroom) MCQ라고 검색하면
퀴즐렛 세트로 문제가 많이 나와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Collegeboard에서 전 FRQ들을 다 공지하니까
10년 전 문제들을 풀어보는 것도 굉장히 추천한다고 합니다!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 개인적으로
미국대학교 AP 시험 준비를 하실 때
Barrons, Princeton 등의
참고서 연습문제는 풀지 않는 편이시라고 합니다.
실제 시험에 나오는 것과 문제 유형이 굉장히 다르게 나온다고 느껴서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하고 최대한 칼보에서 나온 문제들만 푸는 편이라고 해요!
그리고 실제 기출이 중요한 이유는 문제 유형은 비슷해도
시험에 계속 나오는 개념이 중복될 때가 많아서
3회분을 풀었는데 A 개념이 자주 나오면
이번 시험에도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출제자들이 특히 좋아하는 개념이 있을 때가 많다고 해요 :-)
또 칼보의 FRQ는 풀어서 맞았어도
꼭 공식 해설 (scoring guideline)을 읽어주어야 한다고 해요!
맞았어도 공식 답안은 어떻게 적었고 설명했는지 파악해야
실전에서 당황하지 않고 원하는 답변을 제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러 문제/ 공식 해설을 보면
문제를 출제한 의도를 파악해야
실제 시험에서도 '이런 문제에서는 이런 부분이 꼭 들어가야된다,
어떤 의도이기 때문에 이 개념을 설명해야된다'
라는 생각을 하면서 문제를 풀면
주관식에서 점수를 따기가 더 쉽다고 해요.
- IPE (International Practice Exam)
- AP ____ 년도 MCQ pdf - 구글
- AP ____ MCQ quizlet
- Collegeboard FRQ
- AP Classroom (학교를 통해서)
3시간 정도의 시험인 만큼 집중력을 끝까지
끌고 가는 실전 연습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시간적으로 길고 문제 수도 많은 시험인 만큼
실제 시험처럼 한 번에
3시간씩 집중해서 문제를 푸는 연습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미국대학교를 준비하면서
시험 지구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고
실제 시험 당일의 긴장이나 불안감을 해소하는데도
좋기 때문이라고 해요 :-)
오답노트
미국대학교 준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인 오답노트 단계입니다!
모의고사를 보면서 FRQ MCQ 둘 다 많이 풀면서
뭘 모르는지 확인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해요.
틀린 문제의 경우 왜 틀렸는지 파악하
이해하지 못한 개념, 응용 방법을 알고 가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합니다.
고득점멘토 그린님께서는 연도 별로 “2012년 모의고사 틀린 문제”가 아니라
틀린 문제들을 연도와 상관없이 해당하는 단원으로 정리하셨다고 하는데요!
5번, 13번, 48번을 틀렸다면 그 셋을 순서대로 쓰는 게 아니라
5번이 해당되는 2단원, 13번의 5단원, 48번의 1단원 이렇게 섹션을 나눠서 정리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정리했을 때 취약한 단원을 한눈에 볼 수 있고
같은 단원 안에서도 많이 틀리는 부분을 파악하기 쉬워서 좋다고 해요.
각 단원의 틀린 부분만 적는 게 아니라 목차를 보고
모르는 부분들의 개념 정리도 해주면
나중에 그 노트만 보고 시험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7.gif)
이렇게 AP 시험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하단 링크를 클릭하면
고우해커스에서 원문 확인이 가능합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아래 배너를 누르시면 고우해커스에서 더 많은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