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SAT공부 명문대입학을 위한 Critical Readomg 전략
SAT공부 Critical Readomg 전략
기존의 SAT가 2016 NEW SAT로 바뀜에 따라
기존 SAT를 공부하시는 분들은 올해 안에 끝내야한다는 부담감과
걱정이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이런 부담감을 싹 날려드릴
SAT공부 첫번째 Critical Reading 전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작가의 의도를 먼저 파악
흔히 argument, analysis or narrative를 제공하기 위해 작가는 글을 씁니다.
A. Argument일 경우 작가의 의도는 특정한 point를 주장하는 것입니다.
Thesis statement를 파악하며 SAT공부를 합니다.
B. Analysis일 경우 작가는 최대한 객관적 입장을 표현합니다.
textbook이나 신문기사에서 흔 찾을 수 있는 스타일입니다.
이 경우는 작가가 분석한 세부사항과 증거를 구분해야 합니다.
2. 작가의 main idea를 찾을 수 없다면 직접 만들어라
학생이 essay를 작성할 시에 thesis statement는 첫 문장에 포함됩니다.
critical reading에 등장하는 작가들도 항시 같은 스타일을 사용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SAT공부를 진행해야 합니다.
main idea 문장은 지문의 마지막 문장이 될 수도 있고, 아예 없을 수도 있습니다.
주어진 내용을 요약한 후 직접 main idea를 작성한다면
아무리 어려문 지문이라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3. problem solving연습 시 answer choice 가리기
해당 질문에 주관식으로 답을 정리한 후에 answer choice를 확인합니다.
그리 한다면 자주 틀리는 문제유형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 SAT공부방법은 학생의 critical thinking실력을 향상 시킵니다.
4. 작가의 device를 identify하라
작가의 point를 강조하기 위해 diction의 선택의도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syntax또한 특정한 문법요소를 사용하여 주관을 펼칩니다.
특별한 단어와 문장에 대한 의도 질문은 반드시 나오는데요
그러므로 literary device를 미리 공부하고 identify하여야
고난이도 질문을 맞출 수 있습니다.
5. 어려운 단어를 본인의 주관적인 의미로 대입
SAT공부가 미리 안된 단어가 등장한다면 그냥 넘어가지 말고,
이전/이후 point를 이용해 본인의 주관적은 의미로 대입합니다.
특히나 문법상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로 주어와 목적어는 비교대상으로, be동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주어와 목적어 관계를 생각하고 작가의 structure에 본인 개념을 대입한다면
지문 분석의 정확도를 크게 올릴 수 있습니다.
Critical Reading SAT공부법과 함께 이번 여름방학을 이용해
SAT 완전정복을 해보세요. 입학사정관들이 중요하게 보는 부분과
SAT성적 이하 학생은 SAT에 올인 하셔야 합니다.
성적 달성한 학생분들은 캠프나 인턴쉽과 같은
자기 계발 프로그램으로 경쟁력을 강화햐서 성공적인
미국 명문대 진학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유학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방학 2달 토플스피킹 박살내기 (0) | 2015.07.03 |
---|---|
SAT수학 어떻게 공부할까? (0) | 2015.07.02 |
IELTS시험 7.0+목표 공부법 (0) | 2015.07.01 |
2015 SAT시험일정 완벽대비 (0) | 2015.07.01 |
아이엘츠 궁금한 모든 Q&A모음 (0) | 2015.06.30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