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6. 3. 24. 07:30

아이엘츠독학으로 실전대비하는 방법

아이엘츠독학으로 실전대비하는 방법

 

 

 

아이엘츠 독학하고 계신 분들

아이엘츠 라이팅은 어떻게 공부하고 계신가요?

한글로 글쓰는것도 어려워 죽겠는데

영어로 논리적으로 쓰려니 자꾸 꼬이고 산으로가고,,

오늘 저랑같이

어떤식으로 공부방법을 잡아야

실전에서 강하기 실력발휘 할수있을지 공부해요!!


 

 

최신 경향 및 실전대비 방법

Writing은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파트입니다. 

동시에, IELTS 시험은 정확하고 분별력 있는 어학시험으로

그 인지도가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고 있고,

 그 명성과 난이도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는 시험입니다.

많은분들이 Writing파트를 가장 어려워하고,

쉽게 고득점을 얻지 못하는 통계는

해당 파트가 생각하는 것 이상의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또한, 출제 경향 및 난이도가 철저히 관리되고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시험준비가 최신 경향에 맞춰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 ”유형별 정리”를 먼저 시작해야 합니다.


Writing 파트에서 출제되는 다양한 유형과 각 유형별 특이점은

시험 전 반드시 파악해야 하는 경향입니다.

출제빈도와 난이도가 높은 유형은 더 많이 연습하고,

그렇지 않은 유형과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파악해 놓아야 합니다.

실력 없이 요령만 피우려는 데 집중하는 것 대신,

체계적 / 전략적으로 실전에 대비하는 것이

오히려 더 빠른 시간 안에 목표점수를 얻는 방법입니다.

 한두 개의 모범답안을 암기하고 빨리 시험을 보러 가는 것이 큰 실수 인 것은,

다음의 예만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TASK 1 유형 중 출제 빈도 높은 bar graph 유형 한 개만 보더라도,

그 경향은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1) Bar graph 한 개가 단순한 형대로 제시될 수도 있고,

(2) Bar graph 두 개 또는 세 개가 동시에 제시될 수도 있고,

(3) Bar graph가 Line graph, Table,

또는 Pie chart와 함께 복합적으로 제시될 수도 있고,

(4) Bar graph에서 다뤄진 통계의 주제

단순한 “Sales of books”처럼 익숙하고 쉬울 수도 있고,

 (5) 통계주제가 접해보지 않은 “Infant mortality rates”처럼

 관련 어휘 및 표현을 바로 떠올려서 서술/해석해 내기 당황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즉, 실전에 대비하려면, 일단 유형별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아야 합니다.

 

 


   ”주제별 정리”로 실전에 대비해야 합니다.

Writing 파트에 출제되는 주제는 다양합니다.

크게는 Education, Technology, Environment, Health, Social issues 등으로 대략 나뉘지만,

 체계적으로 준비하다 보면

우리 모국어인 한글로 서술하라고 요구해도 쉽지 않을 주제들이 등장합니다.

이번에는 TASK 2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odern technology” 같은 주제는

너무 광범위하고 막연하여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주제입니다.

 

 

반면에 “Effects of paid maternity leaves on labor-force participation of women”은

너무 구체적이고 평소에 시간을 두고 생각해 보지 않아서

많은 분들이 어려워할 주제입니다.

즉, 시험 전 주제별로 문제들에 부딪혀보고, 생각해보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어휘와 표현 및 예시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놓아야

최소한의 시험응시로, 최대의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전 적용연습/훈련

“요령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주제별로 주요 아이디어를 정리하여 암기해 두었으니,

이제 실전과 유사한 환경(TASK 1:20분, TASK 2:40분)에 적응하며,

외운 내용을 꺼내어 써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막연하게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생각들을 떠올리기보다는,

암기한 내용과 출제된 문제의 연관성을 찾아서

빠르게 그리고 요령껏 주제에 접근하는 훈련을 하고, 개

별적 feedback을 통한 실력점검을 해야만 실전에서 당황하지 않습니다!

 

어느 시험이던간에

그시험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고득점자가 되는것입니다.

출제경향을 정확히 알고

빈출문제들을 모아 비교해보면

그 답이 열려있다는점! 잊지마세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