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미국 대학원/연구실 선택 기준은?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 멘토 배경은 님의 글을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미국 대학원 유학 준비 시 고려할 수 있는 연구실/대학원 선택 기준”을 주제로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미국 대학원을 고르는 관점과 기준은 분야마다 다르고, 같은 분야라고 하더라도
개인마다 선호하는 것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 글이 정답이 될 순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 글을 통해 제 의견을 작게나마 공유하는 목적이 크다는 점을 미리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유학에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기준, 네임밸류?
시작부터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네임밸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매우 낮은 대학원은 진학 후에도 좋은 교육 환경을 제공받지 못한다는 관점에서),
네임밸류가 미국 대학원 지원 시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교육받은 사람이라면 대학 선택 시 네임밸류에 초점을 두고 생각하게 됩니다.
물론 미국에서도 대학의 네임밸류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그러나 제가 만난 미국인들은 네임밸류에만 초점을 두기보다는,
어느 정도 높은 수준 이상의 대학이라면 그 이상부터는 다른 요인
(학교 분위기가 자신의 성향과 맞는지, 거리가 부모님 집과 가까운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꽤 있었습니다. 한국인인 제 입장에서는
이러한 생각들이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미국에는 매년 대학 평가를 하는 다양한 지표가 있는데,
그 지표에 반영되는 요인 중 하나가 교수들의 연구 실적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교수들의 연구 실적에는 해당 교수가 그 학교에서 얼마나
오래 있었는지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스탠포드대학교에 있다가
하버드대학교로 가는 경우, 또는 하버드대에 있다가 UC 버클리로 가는 경우처럼
교수진들이 대학 간에 이직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면 그럴 때마다
교수의 연구 실적도 각 학교로 옮겨다니겠죠. 연구 실적이 많은 교수가 있을 경우,
그 교수를 보유한 대학의 랭킹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성 때문에 대학의 네임밸류만으로는 학교의 실제 교육이나 연구 수준을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결국 네임밸류는 참고사항일 뿐, 자신에게 맞는 연구 환경과 분위기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이름 있는 학교라도 자신의 관심사와 맞지 않으면 학업과 연구를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미국 대학원/연구실의 연구 흥미와 나의 관심사가 부합하는가?
대학원을 선택할 때, 연구실이 진행하는 연구 주제와 자신의 관심사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 주제가 자신과 맞지 않으면,
아무리 유명한 대학이라도 오랜 기간 그곳에서 연구하는 것이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대학원 생활은 짧게는 몇 년, 길게는 5년 이상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연구 주제와의
부합도는 무엇보다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연구실의 연구 방향,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
교수진의 연구 키워드 등을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교수들이 발표한 논문들을 읽어보며
그들의 연구가 자신의 관심사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는지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재학생과 졸업생의 연구 주제 역시 참고할 수 있습니다. 그들이 어떤 주제에
흥미를 갖고 연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나와 그 연구실의 연구 방향이 맞는지 확인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입학 후 자신이 연구하려는 주제와 연구실의 방향이 맞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학업을 중단하거나 새로운 연구실을 찾는 것은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입학 전, 연구실의 분위기와 연구 주제를 충분히 조사하고 자신의 연구 흥미와
부합하는지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교수진이나 연구실 학생들과 직접 소통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미국 대학원/연구실의 교수님의 테뉴어 여부와 논문 실적
미국 대학원 선택 시 교수진의 직위와 논문 실적도 중요한 기준입니다.
일반적으로 교수의 직위는 테뉴어(tenure) 여부에 따라 나뉘며, 테뉴어를
얻은 교수는 안정된 직위를 갖게 됩니다. 반면, 테뉴어를 받지 않은 교수는 테뉴어를
얻기 위해 연구 실적을 쌓는 데 더 집중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연구 성과를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환경은 학생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지만, 반대로 연구 실적을 쌓는 것이 중요한 학생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신생 미국 대학원 연구실과 오랜 역사를 가진 연구실의 차이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신생 연구실은 체계가 잡히지 않았기 때문에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지만, 자율성을 더 많이 부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오랜 역사를 가진 연구실은 이미 체계가 잘 잡혀있어 안정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교수님의 직위뿐 아니라 연구실의 역사와 운영 방식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교수님이 어떤 논문을 발표했는지, 해당 논문이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등의 실적을 분석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는 교수님이 해당 분야에서 얼마나 활발하게 활동하는지를 보여주며, 자신이 연구하려는 주제와
교수님의 연구 분야가 잘 맞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미국 대학원/연구실의 재학생 및 졸업생 현황
미국 대학원이나 연구실을 선택할 때, 재학생과 졸업생의 현황도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교수님의 논문 실적은 이미 앞서 살펴봤겠지만, 교수님의 연구 분야가 워낙 광범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대학원생들이 연구하는 주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학생들이
실제로 다루는 연구 주제나 논문 실적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졸업생의 현황도 중요한데, 그들이 졸업 후 어떤 경로를 거쳐
어떤 분야에 취업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졸업생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커리어를 쌓고 있는지, 연구실에서 배운 것이
졸업 후 직업 선택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확인하면, 그 연구실이 자신의 목표와
잘 맞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졸업생들이 논문을 많이 발표하고
다양한 직종에 진출했다면, 해당 연구실의 역량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재학생이나 졸업생과의 직접적인 대화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학원 홈페이지나 학과 사이트에서 그들의 연락처를 찾아보고 이메일 등을 통해
실제 미국 대학원 경험을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들은 학교에서 겪었던 실질적인 미국 대학원 경험과 연구실의 분위기 등을 공유해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얻은 정보는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2탄 뒷내용이 궁금하다면?▼
'해외유학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유학을 위한 네트워킹 활용법 (0) | 2024.10.16 |
---|---|
미국 대학교, 고1 때 이민 와서 간 후기 (0) | 2024.10.15 |
미국 대학원 유학생의 초기 정착비 (0) | 2024.10.07 |
핀란드 교환학생 생소해? 다 알려줄게 (0) | 2024.10.04 |
미국 대학원 진학에 도움 되는 대외활동! (0) | 2024.09.26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