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미국유학생 필독! 미국 현지 코로나 백신 접종 상황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과 함께 안상남 교수님이 알려주시는
미국 현지 코로나 백신 접종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세상이 온통 백신 얘기뿐인 시대인데요~
코로나 감염자 수와 함께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의 수
그리고 이상 반응 건수가 매일 뉴스에 보도되고 있어요!
안상님 교수님의 경우, 백신을 직접맞았다고 하는데요. 15분가량 운전을 해서
도시 북쪽에 위치한 한 교회 주차장에 도착했다고 해요~
안내 요원에게 이메일을 보여주면, 이름,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생년월일,
그리고 백신 접종을 위한 건강 상태를 묻는 질문이었다고 합니다.
백신 접종 시 통증은 약간 따끔한 정도로 독감 예방주사보다 오히려 작았다고 하구요!
2차 접종은 3주 후에 이루어지며 제출한 서류에 적힌 이메일로 통지된다고 했다고 합니다~
저와 아내는 뭔지 모를 불안감과 안도감을 동시에 느끼면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백신 접종 후의 삶과 혹시 나타날 수 있는 백신의 이상 반응들을 나누겠습니다.
미국에서는 노인들을 실버타운으로 이사를 오도록 하는 ‘미끼상품’으로
코로나 백신이 사용될 정도라고 합니다~!
캐나다의 가장 큰 연금 기금 (pension fund)을 이끌고 있는
CPPIB의 대표 (Mark Machin)는 아랍에미리트로
코로나 백신을 맞으러 다녀왔다는 이유로 회사에서 전격 경질되었다고 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남부 지방의 백신 접종 거부 (vaccine hesitancy) 움직임이
훨씬 크다고 하는데요! 모두가 백신에 대해 긍정적이지는 아니라고 합니다~!
교수님이 살고 있는 테네시 주도 그렇다고 하시지만,
인근의 미시시피 주도 코로나 바이러스 그리고
코로나 백신 자체에 대한 불신이 대단히 높다고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도시는 그나마 상황이 좀 낫지만,
남부 지방의 시골로 가면 마스크를 쓴 사람을 찾기 어렵다고 해요!
이들은 여전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메시지를 되새기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보건 정책에 반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역시 정부에 대한 불신이 이면에 깔려 있다는 이야기를 해주셨어요~
저소득층은 현 상황에서 더 큰 피해자라고 합니다~
저소득층은 백신 접종의 혜택을 받기 어려운 구조라고 해요.
신임 바이든 대통령의 공언에도 불구하고
이들에 대한 백신 접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는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백신 접종 등록 체계의 문제에 있다고 하구요!
대부분은 인터넷과 이메일을 통해서 등록과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는데,
저소득층의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은 물론 이메일도 가지고 있지 못해요~
전화가 없는 경우도 흔하다고 하구요.
아시다시피, 저소득층은 코로나에 가장 노출이 심한 사람들인데요.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한 재택근무로 전환하면서
코로나의 ‘예봉’을 피하고 있지만,
저소득층 사람들은 밖에서 다른 사람과 얼굴을 맞대고 일하면서 대부분 일하는데요~
불법체류 노동자 (undocumented immigrants)들의 경우는 문제가 더욱 심각합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을 위해서는 개인 정보를 제출하는데,
이들은 강제 추방의 위험 때문에 백신 접종 자체를 포기하고 있습니다!
미국 코로나와 백신은 유학생들에 대한 영향도 작지 않아 보이는데요~
당장 올해 가을 학기 입학부터 순조롭지 못합니다!
관련해서 미국의 코로나 상황과 백신에 대한 더 다양한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의 배너를 클릭하셔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리구요.
오늘 알려드린 정보와 더 다양한 이야기는 최대 유학 커뮤니티 사이트인
고우해커스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해외유학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학생 주목! 성공적인 영어 인터뷰 준비하기 (0) | 2021.04.10 |
---|---|
석박사유학을 위한 추천서 준비에 대한 모든 것 (0) | 2021.04.05 |
석박사유학 SOP & 학업 계획서 작성은 계획적으로! (0) | 2021.04.04 |
석박사유학 성공했다면? 해커스장학생 지원하고 장학금 받아가자! (0) | 2021.03.28 |
영국 프리마스터 과정 지원준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자 (0) | 2021.03.25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