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특별전형, 3년/12년특례 & 2024입시 변경사항
[본 포스팅은 고우해커스의 칼럼을 재구성하여 작성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우해커스입니다!
오늘은 재외국민특별전형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1. 재외국민특별전형 개요
재외국민특례입학전형은 해외에서 근무하는 분들의
자녀분들을 위한 전형으로 12특례와 3특례, 2가지로 나뉘어지는 전형입니다!
재외국민특별전형(재외국민특례전형)은 처음에 해외 주재원으로 재직하거나,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또는 연구원의 자녀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수 차례 수정을 거듭하며 현재는 해외에서 근무하는 모든 사람의 자녀들로 확대되었습니다.
2020년부터 자격조건이 까다로워져서 2년/6년/9년 특례 등이 폐지됐고,
부모의 자격조건과 학생의 체류조건 등이 통일 되어 적용됩니다.
따라서, 재외국민 전형은 3년과 12년 2가지로만 나누게 되었습니다.
2. 3년특례와 12년특례의 다른점
3년특례 | 12년 특례 |
1) 국외 재학기간이 고교과정 한 학년 포함 중고교 전체 3년 이상일 것 2) 학생은 재학기간중 1년마다 해외 체류를 3/4 이상, 부모님은 2/3 이상 할 것 3) 부모님은 재직기간이 통상 3년 이상이 될 것 |
대부분의 합격이 정원 외 선발이며 서류 100%로 뽑히는 경우 多 |
12년 특례 지원자는 부모와 관련한 자격 조건이 없으며,
9월 입학이라고 하는 후기전형을 실시하는 전형에 지원이 가능합니다!
3년 특례는 후기전형 지원이 불가합니다.
12특례는 초중고 전 교육과정을 모두 해외에서 이수했으며
외국 소재 고등학교 졸업(예정)자가 지원할 수 있는 전형입니다.
대부분의 합격이 정원 외 선발이며 서류 100%로 뽑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3년 특례는 국내외 정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중 국외에 체류한
국외근무자의 자녀로서 3가지 자격요건을 모두 충족해야합니다.
첫번째로 국외 재학기간이 고교과정 한 학년 포함 중고교 전체 3년 이상일 것.
두번째로 학생은 재학기간중 1년마다 해외 체류를 3/4 이상, 부모님은 2/3 이상 할 것.
세번째로 부모님은 재직기간이 통상 3년 이상이 되어야합니다.

3년 특례는 해당 대학 입학생 총 정원의 2%, 모집 단위별 입학 정원의 10% 이하를 정원외로 선발합니다.
하지만, 전교육과정해외이수자(12년 특례)와 새터민은 대학 재량껏 뽑을 수 있습니다.
3. 3년 특례만의 조건
약 160개 대학 정도가 재외국민특별전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각 대학마다 지원방식, 조건, 자격 등이 너무나도 달랐지만
2020년부터 지원 자격이 통일되었습니다 :-)
3년 특례는 12년 특례와 다르게 경쟁률이 있습니다.
특히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는
경쟁률이 매우 치열하며 수시 버금가는 난이도를 자랑한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서류 대학교에 지원하는 학생은 IB 40점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SAT, AP, TOEFL 등 다른 스펙에서 강점을 부각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3년 특례가 없는 학교]
대학명 | 설명 |
서울대학교 |
원래는 있었지만 2009년 이전에 폐지되었습니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3년은 아예 뽑지 않으며, 12년/새터민은 면접 100%입니다. |
서울시립대학교 |
3년/12년/새터민 모두 뽑지 않고 외국인만 뽑습니다. |
서울교육대학교 |
3년특례는 아예 뽑지 않으며, 12년/새터민은 1단계 : 서류 50%(3배수) / 2단계: 1단계+면접 50%입니다. |
포항공과대학교 |
2018학년도까지 있었으며, 이후부터 수시에서 해외고 졸업자를 함께 선발합니다 |
4. 2024 재외국민특례전형 변경사항
1) 자기소개서 단계적 폐지
- 기재 금지사항 검증 강화 및 불이익 조치
- 문항 및 글자 수 축소(4개문항 5,000자에서 3개문항 3,100자로 축소)
- 자기소개서 폐지
2) 교사추천서 폐지
- 금지사항 검증 강화 및 불이익 조치
-교사추천서 폐지
: 자기소개서, 추천서의 내용이 부당하게 입학전형평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대학 입학 전형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학의 장이 입학자를 선발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입학전형 평가자료의 범위에서
자기소개서, 추천서를 제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서강대, 성균관대, 한국외대, 경희대 등은 홈페이지를 통해 2024년도부터
재외국민특례전형의 자기소개서, 추천서 제출을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3) 수능 최저학력 기준 도입
의예과, 한의예과 등을 중심으로 상당한 자질이 필요한 학과에서
재외국민특별전형 3년 특례에 대해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도입하려고 하는 추세입니다!
2024년도 대학별 변경예고를 보면
동국대, 동덕여대, 부산대, 서울교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순천향대, 을지대, 차의과대, 한국외대 등에서 최저학력을 도입하겠다고 예고하였습니다.
4) 평가기준 변경
재외국민특례전형은 매년 서류에서 면접,
면접에서 서류 등으로 변경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2024년도 기준 재외국민 특례전형 평가기준 변경여부를
서울 주요 대학을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대학명 | 변경 전 | 변경 후 |
성균관대학교 3년특례 | 1단계: 서류 100 2단계 서류 70 + 면접 30 |
서류전형 100% (의예과는 면접 30 유지) |
한국외국어대학교 12년 특례 | 서류 100 | 면접 100 (인터넷 면접영상 업로드) |
동국대학교 12년 특례 | 지필고사 | 서류 100 |
동덕여자대학교 3년/12년 특례 | 면접 100 | 서류 100 |
동덕여자대학교 예체능 특례 | 실기 60 + 면접 40 | 실기 100 |
5) 3년특례/ 12년 특례 모집인원 변경 대학교
2024년에 새롭게 변경되는모집 인원을 정리하였습니다.
대학명 |
증원/감원/미선발/신설 |
최종 변경 인원 수 |
한국외대 3년특례 서울캠퍼스 |
증원 |
33명 → 41명 |
한국외대 3년특례 글로벌캠퍼스 |
감원 |
34명 → 26명 |
순천향대학교 |
감원 |
47명 → 20명 |
동국대학교 12년 특례 |
증원 |
80명 → 116명 |
차의과대학 약학대학 |
미선발 |
기존 12특 선발, 3특 3명 → 최종 미선발 |
숙명여대 12년 특례 약학대학 |
신설 |
기존 미선발 →신설 |
6) 2024 서울 주요대학 100% 서류전형 리스트
서류전형으로 2024년도 재외국민특례전형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서울 주요 대학을 정리하였습니다 :-)
2024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교 재외국민 특례 서류전형 대학 리스트 | |
12년특례 |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이화여대 국민대/건국대/동국대/가톨릭대/홍익대/숙명여대/동덕여대/서울여대 |
3년특례 | 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이화여대/국민대 한국외대/동덕여대 |

이렇게 재외국민특별전형에 대해
이야기 해봤는데요!
고우해커스에서 더욱 다양한
유학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더욱 다양한 유학생활 정보를 얻고 싶다면? ▼